물 사용 장소
온수가 나오지 않을 때
가스 급탕기
- 전기 차단기가 내려가 있지 않나요?
(차단기를 내렸다가 올려서 개선될 수 있습니다.) - 급탕기 아래의 밸브는 열려 있나요?
- 콘센트가 빠져있지 않나요?
- 가스가 멈추지 않았나요?
(가스 미터기를 확인하여 주십시오. 빨간 불빛이 켜져있거나 깜빡일 경우, 또는 액정 화면에 알파벳이 표시되어 있으면 가스가 멈춘 상태입니다.)

(정상 복구되지 않을 경우, 가스회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)
- 동결에 의한 고장 방지를 위해 협조 부탁드립니다.
- 가스 급탕기는 겨울철에 동파될 수 있습니다.
-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, 급탕기의 물을 잊지말고 빼 주십시오.
- 다른 방에서의 누수를 발견하시면 레오팔레스 센터로 연락 부탁드립니다.
- 겨울철에 동결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, 전원 플러그를 뽑지 말아주십시오.
-
- 동결에 의한 수리 비용은 입주자께서 부담하시게 됩니다.
- 가스 급탕기 물빼는 순서
- 급수전을 잠급니다.
- 급수전 쪽의 물을 빼는 밸브를 풀어줍니다.
- 수도꼭지 쪽의 물을 빼는 밸브를 풀어줍니다.(1~3바퀴)
- 실내 수도꼭지를 틀어서 물을 완전히 빼줍니다.
- 물을 빼는 밸브를 잃어버리지 말고 보관하여 주십시오.
레오팔레스 서비스 센터로 연락주시기 전에, 가스 미터기에 빨간 불빛을 확인하여 주십시오.

- 물을 뺀 후, 다시 사용할 때 다음 순서에 따라 주십시오.
- 물을 빼는 밸브를 원래대로 잠궈줍니다.
- 급수전을 완전히 열어줍니다.
- 가스 급탕기는 장시간 사용 ・ 지진 발생에 의해 안전 장치가 작동하여 기능을 정지할 수 있습니다. 그러한 경우, 가스 복구 작업을 순서에 따라 실시하여 주십시오.
- 홋카이도 ・ 토호쿠 지방은 전동식 물빼기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.
물빼기는, 실내의 물빼기 스위치를 확인하신 후에 조작하여 주십시오. - 급탕기 본체는 각 건물마다 설치된 장소가 다릅니다. 베란다, 실내, 현관문 옆 등, 확인하시고 작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전기 온수기
● 전기 차단기가 내려가 있지 않나요?
전기 온수기는 심야 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끓일 때까지 심야 전기가 들어온 후, 시간이 필요합니다.
- 전기 온수기에 의한 1일 온수 사용량은, 욕조 2개분입니다. 전기 온수기 내의 온수가 없으면 물만 나오게 됩니다.
- 입주 당일에는 전날까지 전기가 들어오지 않으므로 온수를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.
누수가 멈추지 않음
어떤 누수도, 수도 미터기의 밸브를 잠그면 물이 멈춥니다.
입주 후, 수도국 직원과 수도 미터기의 장소를 확인해 두시면 편리합니다.
수도꼭지에서 누수/배수관 이음새에서 누수
-
이음새의 쇠 부품이 느슨하지 않은지 확인하여 주십시오.
- 멘테넌스가 필요하므로, 서비스 센터로 연락주시거나『設備修理依頼フォーム』(설비수리의뢰양식)으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.
화장실 물이 멈추지 않음
- 로우 탱크의 뚜껑을 열고 부자를 확인하여 주십시오.
- 지수전을 10원 동전이나 드라이버로 오른쪽으로 돌려서 물을 잠급니다.
- 물이 넘침
-
지수면이 넘침 세관에서 2~3㎝ 아래에 오도록 부자 지지봉이 꺾이지 않게 주의하면서 아래쪽으로 구부려 주십시오.
대응이 어려울 경우, 당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-
지수면이 넘침 세관에서 2~3㎝ 아래에 오도록 부자 지지봉이 꺾이지 않게 주의하면서 아래쪽으로 구부려 주십시오.
- 물이 넘치지 않음
- 화장실 물탱크 안에 부자가 걸려 있거나,플로트 밸브 아래에 고형물(세정제 등)이 끼임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,이를 빼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개선되는 경우가 있으므로,물탱크 안 쪽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십시오.
개선되지 않거나 수리가 필요할 경우, 당사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- 화장실 물탱크 안에 부자가 걸려 있거나,플로트 밸브 아래에 고형물(세정제 등)이 끼임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,이를 빼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개선되는 경우가 있으므로,물탱크 안 쪽의 상태를 확인하여 주십시오.
- 욕실 각 명칭
-
욕실 배수가 잘 되지 않음
배수구의 막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. 머리카락이나 쓰레기의 막힘은 예기치 못한 누수의 원인이 됩니다.
자주 배수구를 청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
접시 ・ 배수 트랩
트랩 안에 머리카락이나 쓰레기로 막히면 배수 기능이 저하되어, 비위생적으로 됩니다. 트랩 내부는 월 1~2회 청소하여 주십시오.
욕실 배수구(접시 아래) 안에 물이 고여 있으나, 이는 냄새를 막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.
※그림은 이미지입니다.
화장실 물이 내려가지 않음
수세식 화장실이므로, 화장실 휴지 외의 것은 흘려보낼 수 없습니다. 잘못하여 생리 용품 등을 흘려 보낼 경우, 어떻게 하여도 물이 잘 내려가지 않으면 변기를 뚫는 용품을 사용하여 주십시오. 홈 센터 등에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.
- 쓰레기로 막혀있을 경우, 입주자께서 비용을 부담하시게 될 수 있습니다. 자주 청소할 수 있도록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
이물질을 버리지 말것
절대 이물질(고무 제품이나 탈지면류)을 버리지 말아주십시오.
변기나 욕조가 막힐 뿐만이 아니라, 정화 능력도 저하됩니다. -
휴지를 많이 사용하지 말것
물에 잘 녹는 화장실 휴지를 적정량 사용하여 주십시오.
대량으로 사용하시면 매번 청소해주셔야 합니다.

악취
살고 계신 아파트에 정화조가 있을 경우
정화조 사용의 체크 포인트
-
약품을 넣지 말것
화장실용 약품(염산, 방충제, 방취제, 세정제 등) 투입은 절대 하지 말아주시기 바랍니다.
여러 약품을 혼입하면 조 안에 박테리아를 죽이고, 또한 소독 효과가 떨어지며 오물이 정화되지 않아 악취의 원인이 됩니다.
배수부에서 악취가 남
물 주위의 배수부에는 트랩이라 불리는 물을 고이게 하여 "수막"을 만들어 악취와 해충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습니다.
세면대, 화장실 등
주방 싱크대, 욕실, 세탁기 받침판 등
- 트랩은 청소 외의 경우에는 분해하지 마십시오. 본래의 기능을 손실시킬 수 있습니다.
장기 부재 등으로 잠시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, 배수 트랩의 물이 증발하면서 악취가 올라옵니다.
또한, 유해 가스에 의해 주변 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항상 물이 고여있는 상태에서 트랩 기능을 발휘합니다. 평소에 트랩에 물을 흘려보내서 고이게 두시면 문제 없으나, 사용하지 않으면 트랩의 물이 없어집니다. 예를 들어,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분들도 세탁기의 배수 트랩에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물을 흘려 보내주십시오.

-
화장실
-
세면 싱크대
-
주방 싱크대
-
세탁기 판
-
욕실
※배수구는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항상 청결하게 합시다.